티스토리 뷰

카카오뱅크 급여통장 

VS

신한은행 급여통장 

VS 

국민은행 급여통장 추천과 관리방법


열심히 일하고 아끼고 모으면 재산이 늘어나고 결국 부자가 되고 맙니다. 아주 바라는 계획이지만 꼭 이렇게 되지는 않습니다. 열심히 아끼고 모아도 통장의 잔고가 좀처럼 불어나지 않는다면 돈을 굴리는 방법에 문제가 없는지 고민해봐야 합니다.



안정적인 수입과 돈을 관리하는 것은 돈을 모으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특히 일정한 급여가 들어오는 직장인에게 급여를 잘 관리하는 것이 재테크의 첫걸음이죠. 시중은행에는 다양한 급여통장이 있는데요 신한은행 급여통장, 국민은행 급여통장, 카카오뱅크 급여통장을 비롯한 금리가 좋은 급여통장 추천과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급여통장 관리방법

급여통장 관리의 시작은 용도별 통장 쪼개기입니다.가장 추천하는 쪼개기는 급여통장과 투자통장, 지출통장, 비상금통장으로 나누어서 돈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급여통장에 입금되면 각 통장으로 돈을 분산시켜 돈의 지출과 흐름을 통제하는 것이죠. 





나누어 주는 역활을 하는 급여통장의 특성상 금리보다는 입출금 편의성, 은행과의 접근성,  수수료 유무 등에 좀더 중점을 두는것이 좋겠죠. 카카오뱅크 급여통장과 신한은행 급여통장, 국민은행 급여통장의 금리와 혜택을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뱅크 급여통장



카카오뱅크 급여통장에는 카카오뱅크 입출금통장이 있는데요 금리는 0.1%.  타행이체수수료, 타행자동이체 수수료, ATM수수료가 모두 무료입니다. 카카오뱅크에는 26주 적금이나 모임통장 같은 톡톡 튀는 아이디어 상품과 캐릭터 카드가 있어 젊은 층의 관심을 많이 끌고 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이기 때문에 모든 금융상품은 비대면으로 개설가능하고요 17세이상이면 누구나 핸드폰만 가지고 통장개설이 가능합니다.


신한은행 급여통장



신한은행 급여통장으로 "쏠편한 입출금통장"을 추천합니다. 금리는 역시 0.1%입니다. 이체수수료, 인출수수료, 타행자동이체수수료가 무제한 면제입니다. 통장개설을 영업점이나 비대면으로 가능하지만 통장은 없습니다. 영업점에서 거래는 안되고요 인터넷으로만 사용이 가능하죠.


국민은행 급여통장



국민은행 급여통장에는 직장인우대종합 통장이 있습니다. 금리는 역시나  0.1%. 전혀 만족스럽지 않죠. 하지만 급여이체 고객을 대상으로 전자금융 수수료 , 자동화기기 이용수수료 를 면제해주고  수신 금리우대, 외환수수료 우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신한은행,카카오뱅크,국민은행 급여통장을 알아봤는데요 모두다 자유입출금통장으로 금리는 0.1% 밖에 안됩니다. 그리고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이체수수료 면제라는 혜택을 주고있습니다


급여통장이면서도 추가로  5%의 금리를 주는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유안타 cma 급여통장 추천



유안타증권의 cma통장을 급여통장 추천합니다. cma 통장은 아마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하루만 입금해두어도 이자를 주는 상품인데요 유안타 cma 통장인 경우 1.1%의 기본금리를 제공합니다. 시중은행의 자유입출금 통장 금리가 0.1%였으니까 엄청난 금리죠 ^^;


이 정도 금리가지고 급여통장 추천할 수는 없죠. 유안타 cma통장은 1.1%의 기본금리와 체크카드 사용실적에 따라 추가로 3~5%의 캐시백서비스를 해줍니다. 그리고 급여이체 또는 공과금 자동이체만 시켜놔도 온라인 이체시 수수료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안타cma통장은 급여통장으로서 이체 수수료가 없다는 혜택과 함께 기본금리도 1.1% 로 괜찮습니다만 이것으로 돈을 불릴수는 없습니다. 급여통장에서 투자통장으로 옮겨간 돈은 고금리 저위험 상품에 적절히 투자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안전하고 금리가 좋은 상품을 추천해 드릴게요.


원금보장형 els


무엇을 하든지 종잣돈은 필요합니다. 종잣돈을 만드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적금인데요 금리가 2%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적금과 함께 펀드를 많이 가입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주식형 펀드는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어 손해를 보고 해지하는 경우도 많이 보게 됩니다.



이렇게 원금보장되는 펀드 알고 계셨나요? 현대증권에서 출시되었던 상품입니다. 코스피 200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만기 1년6개월 상품인데요 원금손실없이 기대수익률 2% ~ 14.4%를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그리고 계약시 약정했던 조건에 일찍 도달하면 만기전이라도 조기상환 받을 수 있습니다.


소액으로 부동산투자하는 리츠펀드

원금보장형 els와 함께 추천하는 중기투자 상품입니다. 리츠펀드는 부동산에 투자해서 발생하는 수익을 배분하는 상품으로 매년 결산을 통해 배당가능이익의 90%를 의무배당합니다.



리츠펀드는 매년 5~10%까지 꾸준히 수익을 내주고 있는데요 높은 배상수익을 안정적으로 받을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동산에 관심이 많은 40대를 중심으로 관심을 많이 받는 상품입니다.


시중은행의 예적금 금리가 2~2.5% 정도하는데요 예금에 두었을때와 리츠펀드에 맡겼을때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계산해 볼까요?


먼저 은행에 3000만원을 5년간 예치한다고 하면 최고금리 2.5%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399만원의 이자수익만 얻을수 있습니다. 3000만원을 5년간 아껴서 투자한 금액치고는 너무 빈약하죠.  매년 물가상승율 2%를 감안하면 겨우 연간 0.5%의 이자를 받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다음은 리츠펀드에서 돈을 불려볼께요. 역시 3000만원을 5년간 평균 기대수익률 8%로 계산했습니다. 5년뒤에 1470만원의  수익금을 받을수 있습니다. 은행이자수입 399만원의 3.7배나 되는 금액입니다. 

 


이정도 수익률이면 물가상승률 2%를 감안하더라도 큰 돈을 만들어 나갈 수 있겠죠. 돈을 불리는 재테크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할까요?


돈모으는 재테크 하는 방법




재테크 무료상담하기



#급여통장 추천







반응형